‘고우석 악몽 선명한데’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찢어졌다… 또 KBO 최고 스타로 복권 긁을까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적자가 좀 나도 야구단에 대한 애정으로 항상 든든하게 뒤를 봐주던 피터 세이들러 구단주가 별세한 뒤 샌디에이고의 자금난은 더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디 애슬레틱’ 등 현지 언론들은 샌디에이고가 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은행에서 대출까지 받았다고 주장했다. 실제 2024년과 2025년, 샌디에이고는 팀 연봉을 적정선 아래에서 관리하기 위해 핵심 선수들이 팀을 떠나는 것을 물끄러미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부채 규모를 이겨내지 못한 팀이 구단 매각을 추진한다는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2021년 시즌을 앞두고 13년 총액 3억4000만 달러의 대형 계약을 한 팀 간판 스타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의 트레이드설까지 나돈다. 실현되든 그렇지 않든 올해 팀 연봉 다이어트는 불가피해 보인다. 3년 연속 긴축이다. FA 선수들은 대거 팀을 떠날 전망이다. 딜런 시즈, 마이클 킹이 모두 이탈할 가능성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샌디에이고도 최소 전력 유지를 위해 선발 보강이 필요하다. 이에 가성비 선수에 눈길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런 가설은 샌디에이고가 일본이나 한국 등 아시아 리그에 눈을 돌릴 것이라는 추측으로 이어진다. 상대적으로 싸면서 긁어볼 만한 선수들이 있기 때문이다. KBO리그에서는 단연 코디 폰세(31)다. 현지 매체에서는 최근 “샌디에이고가 폰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는 추측성 보도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팀 사정과 성향을 고려하면 이는 공상 수준의 소설은 아니다. 샌디에이고는 저렴하면서도 3·4선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선발 투수를 찾고 있다. 여기에 최근 5~6년간 동아시아 스카우팅에 가장 적극적인 팀으로 뽑혔다. KBO리그에도 스카우트가 상주하며 많은 선수들이 샌디에이고와 계약을 했다. 김하성이 대표적인 사례고, 실패로 끝났지만 고우석도 2년 계약을 했다. 그 외에 윌머 폰트부터 올해 카일 하트와 웨스 벤자민까지 KBO리그에서 활약했던 외국인 투수들과도 적극적으로 마이너리그 계약을 해 실험을 거친 바 있다. 제대로 성공한 케이스는 김하성뿐이지만, 이런 샌디에이고가 폰세를 그냥 지나칠 것이라 보기도 어렵다. 현재 폰세는 출산 이슈로 한국에 머물고 있다. 월말까지는 한국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윈터미팅 이전에 계약을 마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그만큼 달라붙어 있는 팀이 많다는 것이다. 경쟁이 붙으면 몸값이 올라간다. 현지 언론에서는 폰세가 2년 전 비슷한 경로를 밟아 메이저리그로 돌아간 에릭 페디(2년 총액 1500만 달러)의 계약 규모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KBO리그 최고 투수인 폰세는 단순히 기록만 좋은 게 아니었다. 신체는 개조 수준이었고, 이에 패스트볼 구속이 예전보다 훨씬 더 빨라졌으며 킥 체인지업이라는 결정구를 장착했다. 현지 언론에서는 “완전히 다른 투수가 됐다”고 놀랄 정도다. 올해 풀타임을 소화하면서 스태미너도 과시했다. 메이저리그에서 140~150이닝을 소화하며 3점대 후반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할 수 있다면 요즘 시세에 1000만 달러 몫은 한다는 평가도 있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