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놓쳤다고 하지' 제주-전북전 '논란의 판정', 결국 ‘오심’...심판위의 황당 변명 "VAR도 주심과 같은 견해였어"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 조회
- 목록
본문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회는 14일 프로평가패널회의를 열고 3일 제주SK와 전북 현대의 K리그1 경기에서 나온 문제의 장면을 오심으로 결론지었다. 패널회의 결과 "VAR 또한 주심과 같은 견해로 판단하였기에 주심에게 온필드리뷰 권고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논란의 장면은 당시 후반 39분 나왔다. 전북 공격수 전진우가 페널티박스 안에서 제주 수비수 장민규의 발에 걸려 넘어졌다. 이동준 주심은 아무런 판정 없이 그래로 경기를 진행했다. 느린 그림으로 보면 명백한 파울이었지만, VAR 조차도 판정을 바로잡지 않았다. 오히려 이 주심은 항의하던 전북 벤치에 경고를 줬다.
이 오심 하나로 경기 결과가 바뀌었다. 1-0으로 앞서던 전북은 이 페널티킥을 얻었더라면 쐐기를 박을 수 있었다. 살얼음판 리드를 하던 전북은 호히려 추가시간 동점골을 허용하며 무승부에 그쳤다. 조기 우승을 노리는 전북 입장에서는 땅을 칠 수 밖에 없던 판정이었다. 제주와 강등 전쟁을 펼치는 대구FC, 울산HD, 수원FC 등도 불편할 수 밖에 없는 판정이었다.
경기 후 후폭풍이 거셌다. 너무나 명백한 파울에 현장에서는 "어떤 의도가 있는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였다. 거스 포옛 감독도 움직였다. 자신의 SNS에 해당 장면을 올리며 'NOT penalty, NOT VAR, NOT WORDS'라며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디에고 코치도 SNS에 불만을 표시했다.
결국 심판위원회도 손을 들었다. 명백한 파울에 할 말이 없었다. 최후의 보루라고 할 수 있는 VAR마저 외면했다는 점에서 뒷맛이 씁쓸하다. 패널회의에 따르면, VOR(Video Operation Room)에 대기하던 안재훈, 성주경 심판 또한 이 장면을 반칙으로 판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정도의 장면을 화면으로 보고도 놓쳤다는 것은 심판들의 퀄리티가 그만큼 떨어진다고 스스로 고백한 셈이다. 차라리 '놓쳤다'고 하는게 나을 뻔 했다.
한편, 당시 경기를 관장한 이 주심은 지난 주말 경기에 배정되지 않았다. 심판위원회에서는 "정오심 여부를 떠나 외부의 비난이나 압박이 주심의 객관적 판정에 영향을 끼칠 거라는 예상으로 금주 리그에 배정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심판 평가 체계에 따른 감점 조치 통해 배정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오심에 따른 심판진의 징계 수위는 알리지 않았다.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