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티비 | 무료 스포츠 중계, 실시간 라이브스코어, 스포츠 분석

이청용의 ‘감독 저격’ 세리머니 논란, 신태용은 왜 추락했나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청용의 ‘감독 저격’ 세리머니 논란, 신태용은 왜 추락했나

(시사저널=서호정 축구칼럼니스트)
10월26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남FC의 K리그2(2부 리그) 36라운드.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 1만1000여 관중은 일제히 함성을 질렀다. 벤치에 있던 윤정환 감독과 코치진, 선수들은 서로 부둥켜안고 기쁨을 표출했다. 1년 전 무기력한 모습으로 K리그1(1부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된 인천이 짧은 굴욕을 딛고 다이렉트 승격을 확정하는 순간이었다. 경남을 3대0으로 꺾은 인천은 승점 77점을 기록, 남은 세 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승점 67점의 2위 수원 삼성을 제치고 K리그2 우승을 확정했다. 팬들은 승격에 대한 환희와 회환의 눈물이 뒤섞인 모습이었다. 인천의 눈물을 1년 만에 환희로 바꾼 윤정환
수원 삼성·부산 아이파크·전남 드래곤즈 등 강등된 기업구단들이 해내지 못한 1년 만의 승격을 시민구단 인천이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지분은 역시 윤정환 감독에게 있다. 윤 감독은 2024 시즌 K리그1에서 강원FC를 2위에 올리는 돌풍을 일으키며 다시 주목받았다. 하지만 재계약 협상 과정에서 이견을 보인 끝에 결국 강원을 떠났고, 그때 2부 리그 강등 후 감독 선임에 고민하던 인천이 파격 조건으로 그를 영입했다. 지난해 12월22일 선임돼 시즌 준비가 다소 늦었지만, 윤 감독은 빠르게 팀을 정비했다. 무고사·제르소·이명주 등 기존 주축을 지키고 이주용·김명순·이동률·바로우 등을 보강했다. 4-4-2 전형을 기반으로 선수 개인의 강점을 살리는 조직적 준비를 마친 인천은 25라운드까지 18승4무3패의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했다. 여름을 기점으로 주전들이 부상으로 하나둘 이탈했지만 멀티플레이어를 활용하고 임대선수로 공백을 메워나갔다. 강원 감독 시절 양민혁을 발굴한 것처럼 인천에서도 김건희·박경섭·박승호 같은 젊은 선수를 한 단계 성장시켰다. 물론 윤 감독도 강원과 인천에서 잇따라 성공신화를 쓰기 전엔 감독으로서 부진했던 시기가 있었다. 2011년 일본 2부 리그(J2리그) 사간 도스 감독을 맡아 팀을 역사상 처음 1부 리그로 승격시키며 큰 화제를 모았던 윤 감독은 이후 J1리그에서도 돌풍을 일으켰고, 그 실력을 인정받아 2014년 12월 울산 현대(현 울산HD) 지휘봉을 잡으며 K리그로 돌아왔다. 하지만 2015년 7위, 2016년 4위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남겨, 일본에서의 방식이 한국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후 다시 한국을 떠나 일본(세레소 오사카,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태국(무앙통 유나이티드) 등에서 감독 생활을 이어갔지만 모두 성공과는 다소 거리가 먼 행보였다. 연속된 실패로 인해 2023년은 야인 신분으로 맞았고, 국내로 돌아와 K리그 해설위원에 합류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2023년 6월, 최용수 감독을 성적 부진으로 경질한 강원이 윤 감독에게 러브콜을 보낸 것.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3,825 / 2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알림 0
1X 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