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확률 뚫었다! 정관장, 2년 연속 드래프트 '1순위' 대박...DB·KCC·소노, 2~4순위 지명권 획득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 조회
- 목록
본문
KBL은 7일 오후 KBL센터에서 2025 KBL 신인선수 드래프트 순위 추첨 행사를 열었다. 1~4순위를 추첨하는 1차 추첨과 5~8순위를 추첨하는 2차 추첨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지난 시즌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한 원주 DB와 고양 소노, 부산 KCC와 서울 삼성이 각 40개의 추첨 볼(20%)을 배정받았다. 6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대구 한국가스공사와 안양 정관장은 각 14개(7%), 4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울산 현대모비스와 수원 KT는 각 6개(3%)의 추첨 볼을 받았다.
전체 1순위의 주인공은 7%의 확률에 불과한 정관장이었다. 이후 DB와 KCC가 차례로 2순위, 3순위 지명권을 획득했다. 그리고 소노가 로터리 픽 마지막을 차지했다.
나머지 4개 팀은 2차 추첨에서 순위를 가렸다. 확률은 2024-2025시즌 정규리그 순위의 역순으로 최하위였던 삼성부터 한국가스공사, KT, 현대모비스 순으로 각각 40%, 30%, 20%, 10%였다.
추첨 결과 삼성이 5순위 지명권을 획득했다. 이후로는 한국가스공사, 현대모비스, KT가 6~8순위 지명권을 얻었다. 우승 팀 창원 LG와 준우승 팀 서울 SK는 자동으로 10위와 9위에 자동 배정됐다.
최대 승자는 역시 정관장이다. 지난해 '고졸' 박정웅을 품었던 정관장은 2년 연속 전체 1순위 신인을 품을 수 있게 됐다. 구단 역사상 5번째 전체 1순위 지명 기회다. 지금까지 정관장은 2010년 박찬희를 시작으로 2011년 오세근, 2015년 문성곤, 지난해 박정웅을 전체 1순위로 데려왔다.
이번 신인 드래프트에선 고려대 문유현이 전체 1순위 후보로 꼽히고 있다. 2004년생인 그는 이미 국가대표팀에도 승선했다. 이정현(소노)의 대체 선수로 지난 2025 FIBA 아시안컵 예선에 출전했다. 리빌딩에 집중하고 있는 정관장으로선 문유현을 지명할지 혹은 다른 선택지를 고를지 행복한 고민에 빠지게 됐다.
■ 2025 KBL 신인선수 드래프트 지명 순위
1순위: 안양 정관장
2순위: 원주 DB
3순위: 부산 KCC
4순위: 고양 소노
5순위: 서울 삼성
6순위: 대구 한국가스공사
7순위: 울산 현대모비스
8순위: 수원 KT
9순위: 서울 SK
10순위: 창원 LG
/finekosh@osen.co.kr
[사진] KBL 제공.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