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경기 차이인데 LG는 53억, 한화는 17억… 한화 더 씁쓸하다, 이래서 우승해야 한다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 조회
- 목록
본문
올해 포스트시즌 16경기(와일드카드 결정전 3경기·준플레이오프 4경기·플레이오프 5경기·한국시리즈 5경기)는 모두 매진됐다. 대구·인천·잠실이라는 수용 규모가 큰 경기장을 오갔고, 여기에 대전도 신구장 이전으로 예전보다 많은 팬들을 받다보니 입장권 수익도 역대 최고였다. KBO에 따르면 올해 포스트시즌 입장권 수익은 약 157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기록했던 역대 신기록인 약 146억 원보다 훨씬 더 많은 새 신기록이다. 이제 배당금의 계절이 왔다. 일단 전체 입장 수익 중 행사 및 경기 운영에 들어간 돈은 빼야 한다. 대개 매년 43~45% 정도가 운영 비용이다. 중간값인 44%를 계산하면 구단들에게 돌아갈 배당금 규모는 약 88억 원 선이다. 규정에 따르면 배당금은 정규시즌 우승 팀 LG가 20%(약 17억6000만 원)을 먼저 당긴다. 정규시즌 우승 팀에게 주어지는 특권이다. 남은 80%(약 70억4000만 원)을 포스트시즌 성적 순서대로 준다. 한국시리즈 우승 팀(LG)이 50%, 한국시리즈 준우승 팀(한화)이 24%, 플레이오프 패배 팀(삼성)이 14%, 준플레이오프 패배 팀(SSG)이 9%, 그리고 와일드카드 결정전 패배 팀(NC)이 3%를 들고 간다. 아직 정확하게 다 계산이 된 것은 아니지만 LG는 정규시즌 우승 자격과 한국시리즈 우승 자격을 모두 합쳐 약 52억8000만 원을 수령할 전망이다. 약 53억 원 수준이다. 반대로 정규시즌 당시 LG와 치열한 선두 싸움을 벌였으나 1.5경기 차이로 2위에 머물렀고, 끝내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그친 한화는 약 17억 원을 배당금으로 받는다. 성적에 그렇게 차이가 난 것도 아닌데 배당금은 36억 원이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규정상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정규시즌 우승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KBO리그에서 배당금은 하나의 훈장이기도 하다. 성적순으로 배분되는 포스트시즌 배당금 제도가 갑자기 생긴 것도 아니다. 1위 LG와 2위 한화 선수들이 받는 보너스 격차는 더 커진다. 보통 우승을 하면 모그룹에서 보너스가 나온다. 우승 배당금과 모그룹 보너스를 합쳐 전체 파이가 결정되고, 이를 고과 순으로 배분한다. 선수는 물론 코칭스태프, 고생한 프런트의 통장도 같이 두둑해진다. 그런데 과거에 이 보너스 규모가 천차만별이었다. 한 구단에서 ‘기분 좋다’고 너무 화끈하게 보너스를 푼 바람에 다른 구단의 볼멘소리를 들은 적도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우승 배당금의 최대 50%를 모그릅 보너스 상한선으로 합의해 제한하고 있다. 올해 LG가 이 상한선을 꽉 채워 보너스를 지급한다면 20억 원대 중반의 돈이 야구단으로 더 흘러가게 된다. 우승 배당금과 합치면 거의 80억 원 수준이다. 반대로 한화는 보너스가 없다. 양팀에서 똑같은 활약을 한 선수가 있다고 가정하면 지급액은 엄청난 차이가 난다. 이래서 선수들과 구단은 ‘통합 우승’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경험적으로 연말 보너스가 확 달라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