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때문이야?' 48팀도 터질 지경인데...월드컵 64개국? FIFA가 진짜 미쳤다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 조회
- 목록
본문
'디 애슬레틱'에 따르면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CONMEBOL 회장은 최근 2030년 월드컵을 기념해 한시적으로 출전국을 64개로 확대하자는 제안을 공식적으로 내놨다. FIFA 부회장이기도 한 그는 "1930년 우루과이 대회 이후 100년 만에 맞는 특별한 무대라면, 기존과 다른 방식의 월드컵을 치를 기회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2030년 대회는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가 본선을 공동 개최하고, 개막전 3경기만 우루과이·아르헨티나·파라과이에서 치르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우루과이는 초대 개최국, 아르헨티나는 2022년 우승국, 파라과이는 CONMEBOL 본부가 위치한 나라라는 상징성이 반영됐다. 개막전 한 경기씩만 배정받은 남미 3개국은 "100주년 대회에 걸맞은 대우가 아니다"라며 출전국·경기 수 확대를 통해 남미 개최 분량을 늘려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문제는 대회 규모가 이미 충분히 커졌다는 점이다. 2026 북중미 월드컵은 기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50% 확대됐고, 경기 수도 64경기에서 104경기로 늘었다. 일정 증가, 선수 피로, 경기 질 저하 우려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2030년 대회를 64개국 체제로 한 번 더 키우자는 제안이 나온 셈이다. 64개국 체제가 현실화되면, 우루과이·아르헨티나·파라과이는 개막전 외에도 조별리그 일부 경기를 추가로 유치할 수 있게 된다. 디 애슬레틱은 "2030년 대회가 남미 대륙에 일정 부분 개최 지분을 부여한 셈이기 때문에, 한 대륙이 세 번의 대회 중 한 번만 개최할 수 있다는 FIFA 규정상 남미는 최소 2042년까지 '개최 의무'에서 벗어나는 효과도 생긴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유럽축구연맹(UEFA)과 북중미카리브해연맹(CONCACAF)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디 애슬레틱은 "64개국으로 늘어나면 FIFA 회원국 210개 중 4분의 1 이상이 본선에 나서게 되고, 여러 지역에서 예선의 희소성과 경쟁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라고 전했다. 이미 48개국 체제에서 남미 10개국 중 6개국이 본선에 자동 진출하고 플레이오프 티켓까지 보장된 상황에서, 추가 확대는 형평성 논란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UEFA 알렉산데르 체페린 회장은 이 제안이 유럽 예선과 본선 모두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고, CONCACAF의 빅터 몬탈리아니 회장 역시 확장안에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그럼에도 FIFA가 이 제안을 단순히 밀어낼 이유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48개국 체제로 확대되는 2026년 대회를 앞두고도 중국, UAE 등 잠재적 '빅 스폰서' 시장이 예선 탈락으로 본선행에 실패했다는 점이 변수다. 중국은 아시아 3차 예선 C조 5위에 그쳤고, UAE 역시 플레이오프에서 이라크에 패하며 탈락했다. 출전국이 늘어났음에도 이런 시장을 본선에서 활용하지 못하게 되면, 시청률·스폰서·경제적 파급 효과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