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으로 바꾼 뒤 '메달 싹쓸이', 한국서 이런 일이…IOC 칼 빼들었다 "여성 성전환 선수 '올림픽 출전 금지' 검토"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 조회
- 목록
본문
당시에도 엄청난 화제가 됐던 가운데 이제 올림픽에서는 이러한 모습을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영국 공영방송 BBC와 일간지 가디언 등 영국 언론은 11일(한국시간) IOC가 이르면 2026년, 늦어도 2028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 이전에는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새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논의가 나온 배경에는 '여성 스포츠 보호'를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던 커스티 코번트리 신임 IOC 위원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짐바브웨 수영 여자 국가대표 출신으로 올림픽 메달만 7개를 딴 코번트리 위원장은 당선 직후 관련 기관을 설치해 이 문제를 검토해왔다. 제인 손턴 IOC 의과학 국장은 최근 "남성으로 태어난 선수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춘 후에도 생리학적 이점을 유지한다"는 내용의 과학 데이터를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성전환 선수의 출전 여부를 테스토스테론 수치로 판단했던 IOC의 기존 가이드라인을 사실상 폐기하고, '남성 사춘기' 경험 여부를 새로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BBC는 새 정책이 당장 3개월 앞으로 다가온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전에는 도입되지 않겠지만, 2028 LA 하계 올림픽 전에는 시행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가디언 역시 2026년 여름이 현실적인 시점이 될 거라고 구체적 시기를 언급했다. IOC는 공식적으로 "논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된 바는 없다"고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IOC의 이러한 움직임이 2028 LA 올림픽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마찰을 피하려는 정치적 고려도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 IOC는 성별 규정을 개별 스포츠 연맹 자율에 맡겼다. 하지만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2020 도쿄 올림픽 본선에 뉴질랜드 역도 선수 로렐 허버드가 트랜스젠더 여성 선수로는 최초로 출전했다. 올림픽은 아니지만 한국에서도 성전환 사이클 선수 나화린이 2023년 6월 강원도 양양에서 열린 제58회 강원도민체육대회 사이클 여성부로 출전,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목에 걸어 BBC에 보도되기도 했다. 다만 나화린은 해당 종목 출전이 성전환 선수와 일반 여성 선수의 신체적 차이가 근본적으로 날 수밖에 없다는 걸 알리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연구 결과 생물학적 남성으로 태어난 채 사춘기를 보냈다면, 이후 성전환 수술을 거치고 약 1년간 남성 호르몬을 억제하더라도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보다 근육량이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성전환 선수의 여성부 대회 출전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다만 성 발달 차이(DSD) 선수들에 대한 정책은 미정이다. DSD는 남성 염색체(XY)와 남성 수준의 테스토스테론을 가졌지만, 여성으로 태어나 성장한 경우다. 대표적으로 육상 캐스턴 세메냐(남아프리카공화국)가 꼽히며, 지난해 2024 파리 올림픽에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여자 복싱 금메달리스트 이마네 칼리프(알제리) 역시 DSD 선수로 추정되고 있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