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궁, 리커브와 컴파운드 무엇이 다를까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50 조회
- 목록
본문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광주에서는 세계 양궁선수권대회가 열렸다. 8일간의 열전에 70여개국 500여명의 궁사들이 참가해 자웅을 가렸다.
우리 국가대표 선수들도 컴파운드와 리커브 종목에 참가해 금빛 과녘을 겨냥했다. 같은 양궁이지만 결과는 사뭇 달랐다. 전통적인 효자종목인 리커브에서는 김우진(청주시청), 이우석(코오롱). 김제덕(예천군청), 안산(광주은행), 강채영(현대모비스), 임시현(한국체대)이 나서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로 전종목에서 메달을 목에 걸었다.
반면 컴파운드에서는 최용희, 김종호(이상 현대제철), 최은규(울산 남구청), 소채원(현대모비스), 심수인(창원시청), 한승연(한국체대) 6명의 태극 궁사들이 나섰으나 동메달 1개 획득에 그쳤다. 단순 메달 수에서 비교해봐도 리커브가 더 많고 국민들의 관심 역시 리커브에 더 모인다.
리커브와 컴파운드의 가장 큰 차이는 우선 활이다. 리커브에서 사용하는 활이 흔히 상상하는 '전통적인 활'이라면 컴파운드는 활의 양 끝에 도르래가 달린 이른바 '기계식 활'이다. 또 컴파운드 활에는 조준기가 달려있어 사수가 보다 쉽게 과녁을 볼 수 있다.
대회 운영방식도 판이하다. 리커브는 70m거리에서 표적을 겨냥한다. 표적지도 122cm로 크다. 여기에 세트제의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반면 컴파운드는 50m 거리에서 80cm 크기의 표적을 겨눈다.
리커브는 지난 1972년 독일 뮌헨에서 열렸던 올림픽에서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단체전까지 추가됐고 2020년 도쿄에서는 혼성 단체도 포함됐다. 현재 시행하는 올림픽 체계하에 리커브는 5개의 금메달이 걸려있다.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