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는 왜 박찬호 비FA 다년계약을 안 했을까…유격수 키우기가 얼마나 힘든데, 김규성·박민·정현창으로 괜찮을까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2025-2026 FA 최대어 박찬호(30)가 두산 베어스로 갈 게 확실시된다. 박찬호는 4년 80억원 선에서 계약 세부조건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KIA 타이거즈와 롯데 자이언츠는 일찌감치 발을 뺐고, KT 위즈도 결국 물러났다.
박찬호의 두산행에 가장 데미지가 큰 팀은 역시 KIA다. KIA는 2014년부터 10시즌간 함께한 유격수 없이 2026시즌을 준비해야 한다. KIA가 박찬호 영입전서 별 다른 힘을 쓰지 못한 건, 결국 두산과 KT 위즈의 강한 공세에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KIA는 이번 FA 시장에서 박찬호 외에도 최형우(42), 양현종(37), 이준영(33), 조상우(31), 한승택(31)이란 내부 자원들이 있다. KIA의 우선순위가 박찬호였던 건 맞지만, 그렇다고 이 선수들 계약을 신경 쓰지 않을 순 없었다. 결국 구단이 사용할 수 있는 전체 FA 계약 예산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KIA에 박찬호의 공백은 나머지 5명의 공백과는 차원이 다른 데미지로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 좋은 공수주 겸장 유격수가 팀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은 굳이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유격수의 수비가 불안하면 경기 자체를 놓칠 수 있다.
물론 KIA도 수비를 잘 하는 김규성과 박민이 있다. 이적생 정현창의 부드러운 수비 동작은 KIA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집중 투자하면 주전 유격수를 맡을 수 있는 선수들인 건 분명하다. 그러나 박찬호처럼 공수주 겸장까지 가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어느 팀이든 좋은 유격수 한명을 키우는 건 매우 어렵다. 두산이 80억원 이상 박찬호에게 투자한 이유가 있다.
이 대목에서 궁금한 점이 있다. KIA는 왜 시즌 도중 혹은 1년 전 오프시즌에 박찬호와 비FA 다년계약을 추진하지 않았을까. KIA는 2023년 7월 트레이드로 영입한 김태군을 시즌 막판 비FA 다년계약(3년 25억원)으로 붙잡으면서 안방고민을 완전히 해결했다.
그러나 이번엔 상황이 달랐다. 내부 FA가 최원준(NC 다이노스) 포함 이미 7명이었다. 최원준이 트레이드로 팀을 떠났지만, 여전히 예비 FA가 6명인 상황. 현실적으로 6명과 전부 비FA 다년계약을 맺는 건 어려웠다.
그렇다면 특정 선수 몇 명을 선별해 비FA 계약을 시도하는 것은 팀 케미스트리 유지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듯하다. KIA는 비록 올해 8위로 추락했지만, 엄연히 통합 2연패에 도전한 팀이었다. 그 어느 시즌보다 내부 결속이 중요했다. 올 시즌 성적부터 내고 고민은 나중에 해결하자는 계획은 결과적으로 완전히 어긋났다.
어쨌든 박찬호는 두산으로 떠난다. KIA는 이제 다시 10년을 책임질 유격수를 만들어야 한다. 이미 이범호 감독이 일본 오키나와 마무리캠프에서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고 뉴 페이스 만들기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아무래도 올해 꾸준히 백업 멀티 내야수로 뛴 박민과 김규성, 최원준 대신 받아온 정현창에게 관심이 간다. 이들이 힘을 합쳐 박찬호 공백을 최소화해야 2026시즌 KIA의 대도약이 가능하다.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