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챔피언십, T1의 홈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 조회
- 목록
본문
월드 챔피언십에만 오면 강해지는 T1. T1은 9일(한국시간) 중국 청두 동안호 스포츠 파크 다목적 체육관에서 열리는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KT 롤스터에 3대 2 역전승을 거뒀다. 1대 2로 밀리던 중 4·5세트를 내리 잡아내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LoL) e스포츠 사상 최초의 3연속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이뤘다. 늘 마지막에 이기는 건 T1이다. T1의 2025시즌은 험난한 여정이었다. 지난 스토브리그에 ‘제우스’ 최우제를 놓쳐 전력이 약화됐다는 평이 주를 이뤘고, 실제로도 앞서 열린 대회에서 단 한 개의 우승컵도 수집하지 못했다. 하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 타이틀을 지켜내면서 그간의 분루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데 성공했다. 올해 T1은 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정규 시즌 후반기에 파죽지세로 달리다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한화생명e스포츠에 완패하면서 안정감을 잃었다. 이어지는 디플러스 기아와의 경기에서도 피투성이 싸움을 한 끝에 간신히 이겨 월드 챔피언십 4시드 자격을 거머쥐었다. 중국에 와서도 불안한 경기력이 이어졌고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는 벼랑 끝인 2승2패조까지 내몰리기도 했다. 스위스 마지막 경기였던 모비스타 코이(MKOI)전부터 경기력이 급격한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더니, 8강에서 올해 LCK 최대 숙적이었던 애니원스 레전드(AL)를 기어코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페이커’ 이상혁과 ‘구마유시’ 이민형, 두 딜러진이 팀의 중심을 꽉 잡았다. 결국 준결승전에서 TOP e스포츠(TES)를 만났을 때 이들은 이미 어엿한 우승 후보 수준의 경기력을 복구한 상태였다. 상대가 자충수를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을 유도하면서 3대 0 완승으로 시리즈를 마무리했다. T1은 왜 월드 챔피언십에서 강한가. 그 이유는 선수들도 정확히 알지 못한다. ‘오너’ 문현준은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어떤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냥 온전히 게임을 할 수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 위상이 가장 높은 대회이다 보니까 더 열정적으로 임할 수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 선수의 캐리력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도 아니다. 2023년의 파이널 MVP는 최우제였고, 2024년은 이상혁이었다. 올해는 이민형이다. 선수단이 번갈아가며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활약을 펼치고 있는 것도 이들로선 특별한 자신감이 된다. 혹자는 T1이 긴 호흡의 대회에 강하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한 팀 관계자는 “T1이 한 패치로 오래 대회를 치를 때, 메타가 정립되고 게임에서 풀어야 할 과제의 순서가 뚜렷해졌을 때 강해지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과거 삼성 갤럭시가 ‘선발전 불패’ 기록을 써 내려가던 시절 ‘코어장전’ 조용인도 비슷하게 “왜 선발전에 강한지는 나도 모르겠다. 패치 버전을 유지하는 기간이 길어지면 잘하는 것 같다”고 자평한 적 있다. 각자가 생각하는 강함의 이유는 제각각이겠지만, 결론은 하나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