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애꿎은 오타니에 시비 거나… 구단들 오타니 희생양 삼아 직장폐쇄 각 잡는다? 논란 가열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조회
- 목록
본문
오타니 계약 이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총액 4억 달러 넘는 계약을 한 선수는 한때 팀 동료였던 마이크 트라웃(LA 에인절스)이 유일했다. 5억 달러를 넘는 선수는 하나도 없었다. 오타니는 총액 5억 달러의 벽을 돌파할 선수로 지목됐는데, 6억 달러도 모자라 7억 달러를 찍은 것이다. 이는 북미 4대 스포츠 역사상 첫 7억 달러 계약이기도 했다. 그런데 하나 이상한 조항이 있었다. 오타니는 7억 달러 중 거의 대부분인 6억8000만 달러를 지불 유예로 돌렸다. 구체적인 지급 방식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계약 기간이 끝난 뒤 6억8000만 달러를 나눠 받는다. 지금 1달러와, 10년 뒤 1달러의 가치가 같을 수는 없다. 이에 경제학자들은 최근 물가 상승률을 고려, 7억 달러가 아닌 실제 4억 달러 중반대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런 지불유예 계약을 한 이유로 오타니 측은 “팀에 부담을 주기 싫어서”라고 했다. 제아무리 갑부 구단인 다저스라고 해도 한 선수에게 연간 7000만 달러를 주면 팀 연봉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다른 선수에 투자할 실탄도 부족해진다. 우승을 하고 싶어서 다저스에 온 오타니는 오히려 자신이 팀 전력 보강에 방해가 될까 걱정했다. 연봉은 200만 달러만 받아도, 어차피 스폰서십으로 엄청난 돈을 버는 선수다. 먹고 살 걱정을 할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부정론자들은 오타니가 ‘탈세’를 목적으로 지불 유예를 했다고 주장한다. 미국은 연방 정부에 내는 세금과 주(州) 정부에 내는 세금이 따로 있다. 주 정부 세금은 주마다 천차 만별이다. 텍사스 주와 같은 곳은 세금이 싼 반면, 현재 다저스의 근거지인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는 미국에서도 세율이 가장 비싼 것으로 손꼽힌다. 10년 뒤 세금이 싼 주로 이주한다면, 세금을 크게 아낄 수 있다. 지역 사회에서 “오타니가 탈세를 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나온 것은 어쩌면 그럴 만한 이유는 있다. 그리고 메이저리그 구단들이 갑자기 이를 꼬투리 잡는 모양새다. 오타니가 법적으로 져야 할 책임은 없지만, 이를 빌미 삼아 노사협상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스포팅뉴스’는 17일 “이 계약상의 허점은 캘리포니아 주의 징벌적인 세법을 회피하기 위해 설계됐다”면서 “이로 인해 MLB의 락아웃(직장폐쇄)이 발생하여 2027년 시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 매체는 “다저스는 다른 톱 클래스 선수들에게 투자하기 위해 오타니의 연봉 상한액을 억제하는 방법을 짜냈다. 그리고 오타니는 그 계약에 따라 세제의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혜택도 받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공정성을 유지한다는 이름으로 그야말로 야구를 망치는 자세다. 그리고 지금, 리그 전체의 오너들은 그 보복으로서 직장폐쇄를 함에 따라 2026-2027 오프시즌의 일부, 나아가서는 2027년 정규시즌 일정의 일부까지도 망치려 한다”고 경고했다. 메이저리그는 사무국과 노조가 5년 마다 노사협정을 한다. 기존 노사협정은 2026년 시즌을 끝으로 만료된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