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백과 포백, 역할 큰 차이 없다"는 홍명보 감독, 어쩌면 그게 진짜 문제 [홍명보호 현장]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남자 축구대표팀은 18일 오후 8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가나와 하나은행 초청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 친선경기를 치른다. 10월 기준으로 한국은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2위, 가나는 73위에 위치해있다. 홍 감독 부임 이후 대표팀은 좀처럼 패배하지 않는 팀이 됐다.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부터 시작해 18경기에서 11승 5무 2패로 성과가 나쁘지 않다. 2번의 패배도 서로 차포를 떼고 붙은 일본과 경기, 한국에 유독 강한 브라질과 경기였기 때문에 최악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여전히 홍 감독에 대한 여론은 싸늘하다. 대표팀 감독 선임과 관련한 여러 논란들이 결정적이었지만, 이를 타개할 만한 경기력을 보여주지 못한 까닭이기도 하다. 축구를 비롯한 모든 스포츠는 경기장 안에서 보여주는 게 가장 중요하기에 설령 선임 과정에 잡음이 있었더라도 경기장에서 내용과 결과로 말했다면 여론이 지금보다는 나았을 수 있다. 홍 감독은 스리백과 포백을 번갈아 활용하며 대표팀에 다양성을 불어넣고자 한다. 7월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에서 처음 3-4-2-1 전형을 들고 나왔고, 9월 미국 원정과 10월 A매치 총 4경기에서 유럽파가 포함된 스리백 전형을 실험했다. 일본 대표팀의 스리백을 차용해 손흥민을 비롯한 공격진을 보다 공격에 집중하게 만들기 위한 복안이었다. 완성도에 대한 의문과 별개로 손흥민의 공격력이 좋아지는 효과는 분명 얻었다. 가나전을 앞두고는 포백과 스리백에서 선수들의 역할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도 강조했다. 홍 감독은 "스리백과 포백을 자꾸 얘기하지만 역할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선수들이 하면서 느낄 수 있고 협력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내일 경기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팀에서 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라고 말했다. 시간을 충분히 할애할 수 있는 클럽팀과 달리 2주간 소집되는 A매치 몇 번이 전부인 대표팀 특성상 선수 개개인의 역할에 극적인 변주를 줄 수는 없다. 전형이 바뀌더라도 기본적인 틀이나 선수 개개인의 역할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홍 감독의 발언은 일반론이기에 일견 타당해보인다. 실제로 대표팀 전술은 스리백과 포백을 쓸 때 큰 차이가 없다. 볼리비아전을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4-2-3-1 전형으로 시작했지만 후방 빌드업을 할 때는 한쪽 풀백이 내려서고 한쪽 풀백이 높게 올라서면서 3-2-4-1에 가까운 전형이 만들어진다. 3-4-2-1 전형의 공격 시 포메이션과 다르지 않다. 여기서 풀백의 전진, 미드필더의 빌드업 가담 등이 더해지면 3-1-6 대형이 갖춰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스리백과 포백에는 분명한 차이도 있다. 같은 투 볼란치를 쓰더라도 스리백과 포백에서 중원 구성은 사뭇 달라질 수밖에 없다. 공격진 동선 역시 윙어 2명이 있는 4-2-3-1과 공격형 미드필더 성향 2명이 있는 3-4-2-1은 공격진 역할이 달라져야만 한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