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부터 들썩이는 강백호·박찬호의 몸값…FA 거품론 재가열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 조회
- 목록
본문
가을야구의 마지막 장이 열렸다. 그라운드 안에서는 한국시리즈 챔피언 자리를 놓고 '왕좌의 게임'이 진행 중이지만, 그라운드 밖에서는 '쩐의 전쟁'을 준비 중이다. 스토브리그가 곧 닥치기 때문이다. 올해 자유계약(FA)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이들은 강백호(KT 위즈)와 박찬호(KIA 타이거즈)다. 요즘에는 FA를 앞둔 주전급 선수들의 경우 미리 소속팀과 다년계약을 하기 때문에 이들의 FA 선언은 여러 구단의 관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올해는 구단마다 '실탄'이 넉넉한 편이다. 초대형 FA 선수가 없는데도 "시장이 과열될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는 이유다.
최형우·강민호 등 베테랑급 선수들의 움직임도 관심
강백호는 2025 시즌 전부터 '몸값 100억원 이상'이라는 말이 흘러나왔다. 시장 환경상 홈런 능력을 갖춘 30세 이하 타자가 FA 시장에 나오는 게 흔하지 않기에 공격력이 부족한 팀에 아주 매력적인 매물이란 게 그 이유다.
'천재 타자'로 불리는 강백호는 통산 타율이 3할(0.303)을 넘고, 부상으로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한 두 시즌(2022년, 2023년)을 제외하고 두 자릿수 홈런도 해마다 때려냈다. 2024 시즌에는 전 경기(144경기)에 출장하면서 타율 0.289, 26홈런 96타점, OPS 0.840의 성적을 냈다. '건강한' 강백호가 얼마만큼 활약할 수 있는지 잘 보여줬다. 더군다나 그는 아직 26세에 불과하다. 6년 이상의 장기계약이 이뤄질 경우 충분히 총액 100억원을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FA 시즌인 올해는 발목 부상의 여파가 있어 타율 0.265, 15홈런 61타점으로 다소 부진했다. 수비 포지션이 애매하다는 것 또한 마이너스 요인이다. 데뷔 초에는 1루수, 외야수로도 뛰었는데 실책이 잦아지면서 수비 안정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른 대형 FA 선수들과 비교해 수비 기여도가 현저히 부족하다. 올해도 지명타자 혹은 백업 포수로만 뛰었다. 따라서 그의 몸값이 지나치게 높게 형성됐다는 시각은 분명 존재한다. 강백호는 현재 메이저리그 진출까지 모색 중이다. 소속팀 KT는 강백호를 잔류시키려고 하지만 몸값 경쟁이 격해질 경우 한발 뺄 가능성도 있다. 강백호를 대신할 만한, '안현민'이라는 타자가 올해 발굴됐기 때문이다.
유격수 박찬호 또한 강백호만큼 '핫'하다. 프로 11년 차인 박찬호는 2019년 KIA 주전 내야수로 발돋움해 매 시즌 130경기 이상 소화해 왔다. 통산 타율은 0.266으로 다소 떨어지지만 2023년과 2024년 연속 3할 타율을 기록했다. 2024 시즌에는 유격수 골든글러브도 차지했다. 수비만 놓고 보면 리그 정상급이다. 유격수라는 포지션이 FA 시장에서 희소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내야가 헐거운 팀은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다. FA 자격을 갖춘 선수가 6명(박찬호·최형우·양현종·조상우·한승택·이준영)이나 있는 KIA는 박찬호를 계약 1순위로 보고 있다. 팀 내에 박찬호를 대체할 만한 선수가 없기 때문이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