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디or보기] KLPGA의 ‘특별 시드 제도’, 결코 폄훼되어서는 안 된다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 조회
- 목록
본문
KLPGA가 올해 처음으로 도입한 ‘특별 시드 제도’를 놓고 갑론을박(甲論乙駁)이다. 올 시즌 시드를 잃은 선수 가운데 K-10(10년 이상 연속 정규 투어 활동) 또는 누적 상금 25억원 이상 기준을 충족한 선수 중에서 성적과 협회 기여도, 인지도를 종합 평가해 이사회 의결을 거쳐 4명 이내 선수에게 내년 시드를 부여하는 게 골자다. 시니어 투어로 진출하기 전까지 여전히 경쟁력이 있는 선수들의 경력 단절을 줄여 준다는 게 도입 취지다. 제도 도입을 확정, 발표했을 때만 해도 선수들과 여론의 반응은 호의적이었다. 그런데 지난 3일 이 제도의 첫 수혜자로 이소영(28·롯데), 김지현(34·퍼시픽링스코리아), 장수연(31·동부건설), 서연정(30·요진건설)이 발표되자 제도 도입 자체를 무색케하는 억지춘향격 비판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KLPGA는 두 기준(10년 연속 활동+25억 상금)을 모두 충족한 선수가 1순위, 10년 이상 연속 활동한 선수가 2순위, 25억 상금 받은 선수가 3순위였다는 선발 기준을 설명하고 있다. KLPGA 자료에 따르면 세 가지 기준 중 한 가지라도 충족한 선수는 54명이다. 그 중 내년 시드를 획득한 23명을 제외한 선수 중 이소영 김지현 장수연은 1순위 해당자, 서연정은 2순위에 해당돼 내년 시드가 각각 주어진 것이다. 비판 여론의 진원지는 내년 시드를 잃은 장하나(33·3H)다. KLPGA투어 통산 15승과 통산 상금 57억7049만원을 획득한 장하나가 특별 시드를 받지 못한 게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다는 것이다. 통산 승수와 상금액만 놓고 본다면 장하나는 특별 시드를 받은 4명에 비해 압도적이다. 따라서 당연히 구제를 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2가지 결격 사유 때문에 이번 선정에서 제외됐다고 한다. 첫 번째 사유는 ‘10년 연속 활동’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장하나는 2015년부터 2017년 중반까지 LPGA투어에서 활약하다 국내로 복귀했다. 두 번째는 경기력이다. 장하나는 2022년부터 급격한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고질적인 발목 부상과 잘못된 스윙 교정이 부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021년까지만 해도 2승을 거둬 상금 순위 3위로 시즌을 마쳤던 장하나는 2022년에 26개 대회에 출전, 17개 대회에서 컷탈락하면서 상금 순위 80위에 그쳤다. 2023년에는 상황이 더 악화됐다. 28개 대회에 출전해 컷 통과는 딱 두 차례에 그쳤다. 작년에는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아예 병가를 낸 뒤 4개 대회만 출전했으나 모두 컷 탈락했다. 올 시즌은 그야말로 최악이다. 26개 대회에 출전했으나 컷 통과가 한 차례도 없었다. 2년 연속 상금 한 푼을 벌지 못한 것이다. 본인의 혹독한 노력에도 경기력이 전혀 올라 오지 않고 있는 것이다. 바로 그 점이 이사회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어느 정도 지속 가능한 경기력만 보여주었더라도 장하나의 선정은 당연했으리라 유추된다. 모두를 충족시키는 제도는 없다. …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