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범호의 변신? 공개 질책+문책성 교체+강훈련 예고..."감독 눈치 안 보게 하겠다"던 모습은 어디로 [스춘 이슈분석]
작성자 정보
- 초고속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67 조회
- 목록
본문
[스포츠춘추]
같은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다. 2024년 KIA 타이거즈를 통합우승으로 이끈 이범호 감독과 2025년 8위로 추락한 팀을 이끄는 이범호 감독은 마치 다른 사람처럼 보인다. 겉모습은 같아도 방송과 언론을 통해 노출되는 행동과 발언, 리더십 철학은 정반대로 변했다. 지난해 이 감독을 규정하는 키워드는 일관성이었다. "뱉은 말은 끝까지 지킨다"는 철학은 시즌 내내 흔들리지 않았다. "선수들이 감독 눈치 보지 않고 야구하게 하겠다"는 선언도 빈말이 아니었다. 연패가 거듭되는 위기 상황에서도 초심을 잃지 않았고, 양현종을 교체한 뒤 백허그로 조용히 위로하는 모습에서는 원칙과 포용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뤘다. 한 KIA 코치는 지난해 "시즌 중에 연패에 빠졌을 때 감독님이 초심을 지키는 걸 보고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감독이 불안해하거나 쫓기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니 선수들도 불안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바로 이런 일관성 있는 리더십이 KIA를 통합우승으로 이끈 원동력이었다. 그런데 2025년의 이범호는 어디서 본 듯한 다른 감독의 모습이다. 18일 광주 한화전에서 포수 한준수를 공개적으로 질책해 선수가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전국에 생중계됐다. 한준수가 "내가 너무 부족해서 감정이 복받쳤다"고 해명했지만, 작년 KIA 더그아웃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풍경이었다. 17일에는 노장 김선빈을 3회 만에 문책성 교체하며 더그아웃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이런 경기나 플레이는 용납할 수 없다. 선수들이 남은 경기 더 정신 차리고 했으면 좋겠다"며 선수단을 질책했고 "지금처럼 하면 내년도 없다"고 다그쳤다. 작년 통합우승 감독 꽃범호가 아니라 옛날 해태나 KIA 암흑기 감독들과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죽어라 훈련해야 한다" "누구라도 경기에 나가고 싶으면 죽어라 훈련해야 한다"는 메시지도 당황스럽다. 9월 초엔 "젊은 선수들 훈련량을 늘리겠다"는 발언도 했다. 이를 두고 누군가는 "수능 4교시를 앞두고 1교시 시험 과목을 공부하겠다는 격"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열심히 훈련해야 경기에 나간다는 건 당연한 얘기인데, 굳이 공개적으로 소리내어 말할 필요가 있을까. 성적 부진의 원인이 감독이 선수들을 너무 풀어줬기 때문이라는 일각의 비판, 혹은 윗선의 시선을 의식한 메시지는 아닌지 우려스럽다. 물론 KIA 선수들도 반성해야 할 부분이 많다. 그룹에서 스프링캠프 기간 비즈니스 클래스까지 지원하며 최상의 서포트를 해줬지만, 프로다운 준비와 플레이로 보답하지 못했다. "전반적인 시즌 준비가 예년보다 늦었다"는 비판은 그냥 나온 게 아니다. 감독이 선수 중심으로 배려해주고 구단에서 파격 지원을 해줬다면, 선수들도 그에 부응해야 마땅한데 시즌 준비부터 경기 내용까지 나태하고 안일한 모습만 눈에 띄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해설위원은 "자기가 주전이고 자리가 보장됐다는 생각에 분위기가 느슨해졌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
관련자료
-
링크


